본문 바로가기

스터디/web

[노마드코더]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#1 INTRODUCTION | HTML5 독학백서, 이도해

반응형

#1.2 Requirements

HTML, CSS를 통해 웹사이트를 만든 후 Javascript로 interactive 하게 만들 수 있다.

따라서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HTML, CSS에 대한 기본적인 수준의 지식이 필요하다.

 

HTML - 폼을 어떻게 작성하는지, 인풋, 버튼, body, head 
CSS - class와 id의 차이점, selector

 

강의에서는 위 항목들 대한 이해도가 필요해 코코아톡 클론 코딩이라는 선수 과정을 추천한다.

하지만, 유료과정이라 간단하게 밀리의 서재 - "HTML5 독학백서, 이도해" 로 정리해 보려한다.

읽어보니 초보자도 이해하기 좋은 책인 것 같다.

 


HTML

  • <head> 태그

문서의 정보를 담당

 

  • <body> 태그 

문서의 본문을 의미하는 태그로, <head> 태그와 다르게 웹 브라우저 화면에 보이는 부분을 담당.

 

  • <form> 태그

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데이터를 웹 사이트 등으로 전송할 때 사용하는 태그

 

폼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<form> 태그의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Input Widget, Button Widget과 Label을 사용한다.

 

  • input widget

폼을 할 때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input widget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:

 

'text/ textarea/ radio/ checkbox/ password/ file'

 

어떤 위젯을 사용할 지 type 속성의 값으로 작성.

 

<!DOCTYPE html>
<html>
    <head>
        <meta charset="UTF-8" />
    </head>
    <body>
        <form>
            <label for="name">이름</label>
            <input type="text" id="name" />
        </form>
    </body>
</html>

 

Input 테스트

 

  • button widget

 

버튼 위젯은 다음과 같은 type 속성을 가진다. :

 

' button/ submit/ reset '

 

- button 은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고, 이것이 그냥 버튼임을 나타내는 속성 값.

이 속성 값은 버튼이 클릭 되었을 때의 이벤트 처리를 위해 Javascript와 함께 쓰인다.

 

- submit 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

 

- reset 은 현재 폼의 위젯을 초기화

<!DOCTYPE html>
<html>
    <head>
        <meta charset="UTF-8" />
    </head>
    <body>
        <form action="/test-page" method="post">
            <div>
                <label for="name">이름</label>
                <input type="text" name="name" />
            </div>

            <div>
                <label for="mail">이메일</label>
                <input type="text" id="mail" />
            </div>

            <div>
                <label for="codenumber">패스워드</label>
                <input type="password" id="codenumber" />
            </div>

            <div>
                <button type="submit">전송</button>
                <button type="reset">초기화</button>
                <button type="button" onclick="alert('버튼 클릭')">버튼</button>
            </div>
        </form>
    </body>
</html>

Button 테스트

내가 그 일을 즐겁게 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알려면 해보는 수밖에


아래는 chrome의 새 탭 화면 source인데, 세부적인 속성들의 의미는 모르더라도 전반적으로 태그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 수 있었다. (Chrome 새 탭 - Ctrl + Shift + I (개발자 도구) - Sources)

<html dir="ltr" lang="ko"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title>새 탭</title>
    <style>
      body {
        background: #FFFFFF;
        margin: 0;
      }

      #backgroundImage {
        border: none;
        height: 100%;
        pointer-events: none;
        position: fixed;
        top: 0;
        visibility: hidden;
        width: 100%;
      }

      [show-background-image] #backgroundImage {
        visibility: visible;
      }
    </style>
  </head>
  <body>
    <iframe id="backgroundImage" src=""></iframe>
    <ntp-app></ntp-app>
    <script type="module" src="new_tab_page.js"></script>
    <link rel="stylesheet" href="chrome://resources/css/text_defaults_md.css">
    <link rel="stylesheet" href="shared_vars.css">
  </body>
</html>

 

 

CSS 관련 내용은 생각보다 글이 길어져 별도로 정리하려 한다.

 

>>

[노마드코더]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#1 INTRODUCTION | CSS3 독학백서, 이도해 (tistory.com)

 

 

* 참고도서

HTML5 독학백서, 이도해

반응형